의사와 운동지도자는 운동처방을 수행하기 위하여 운동생리학 및 연령, 성별, 환경에 의한 영향, 체력, 건강상태 및 흥미 등을 알면 각자에게 적합한 운동처방을 할 수 있다. 운동 프로그램의 주목적을 명확하게 하고 이에 따라 계획을 세워야 한다. 운동을 행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거기에 알맞게 처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 즐거움, 체력향상은 힘든 트레이닝의 결과로 얻어질 수 있지만 거의 모든 운동선수의 주목적은 경기 기록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런 사람들에게는 의사보다도 운동지도자와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운동지도자는 선수들이 행하는 운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관련 있는 생리학적 요인의 중요성을 판단하여 이들 요인을 발전, 향상시킴으로써 개개인의 운동선수의 잠재된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절한 프로그램을 수립하여야 한다.
건강과 체력향상을 필요로 하는 집단과 반대편에 있는 환자들은 건강증진에 가장 관심이 있을 것이다. 그들에게는 즐거움과 체력향상 등은 2차적인 것으로 경기기록은 중요하지 않다. 그들의 문제는 의학적인 것이며 어떻게 해서 기능적인 능력을 향상시키고 더 이상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지도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의사와의 관계가 깊고 약의 처방도 운동과 트레이닝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환자는 어떤 형태의 운동을 중점적으로 행하고 피할 것인지는 알기 위하여 정확한 운동처방이 필요하고 일정한 감시 하에 운동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런 양극의 중간에 정상적인 사람들이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그들이 운동하는 주된 이유는 재미와 체력향상이다. 그들에게는 병적 소견이나 증상이 없고 어떠한 한계도 자각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위험요인을 갖고 있어서 운동부하검사와 정확한 운동처방의 필요성이 증대한다. 거의 모든 사람이 즐길 수 있고 사회적, 오락적, 경제적인 상호작용을 주는 운동을 선택하도록 한다. 건강과 체력의 평가, 운동의 효능과 위험성을 설명하고 운동을 시작하고 계속하는 동기를 부여하며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목표를 각자에게 제시한다. 각자의 건강상태 및 운동에 대한 반응을 점검해서 안전하고 유용한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한다. 의학상의 제약이나 금기의 유무, 중요시되고 회피하여할 운동형태, 초기의 체력 수준, 참가 상황, 예상되는 개선률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것을 통한 또 하나의 중요한 요인이 '즐겁다' 라는 것인데 이는 각자의 요구, 흥미, 도달점 등을 이해함으로써 증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