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해유

운동부하검사 할때

300x250

환자에게는 어떻게 운동부하검사가 진행될 것인지, 위험성 그리고 유발될 가능성이 있는 합병증에 대하여 주의 깊게 설명해야 한다.
환자에게는 어떻게 운동부하검사가 진행될 것인지, 위험성 그리고 유발될 가능성이 있는 합병증에 대하여 주의 깊게 설명해야 한다.

 

환자에게는 운동부하검사 실시 2~3시간 전에는 식사를 하지 않을 것과 운동을 위한 복장을 준비할 것을 지시한다. 금기 증상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단한 병력 검사와 신체검사를 해야 한다. 더욱이 상세한 면접으로 현재 무엇인가 약물을 사용하고 있는지 또는 전해질 이상의 가능성이 있는가를 조사한다. 운동부하검사의 실시 여부를 명확히 결정할 수 없을 때에는 환자에게 더 자세한 질문을 하고 담당의에게 연락을 취해야 한다. 안정시의 심전도로 밝혀진 이상에 의하여 검사가 금지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운동부하검사를 하기 전에 12 유도의 심전도 (특히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환자) 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에게는 어떻게 운동부하검사가 진행될 것인지, 위험성 그리고 유발될 가능성이 있는 합병증에 대하여 주의 깊게 설명해야 한다.

 

심전도에서는 잡음에 대한 전기신호의 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피부저항을 줄여야 한다. 잡음은 저항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불쾌감과 가벼운 과민증을 일으켰어도 피부는 적절한 상태로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심전도는 지속적으로 모니터 되어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 컴퓨터로 평균화 처리를 하면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잡음을 처리할 때에는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 근육에 의한 잡음은 환자가 팔의 힘을 빼면 감소하는 경우가 많다. 검사 중에 의사는 환자 옆에서 혈압이나 피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환자에게 말을 걸어주면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술자는 기기를 조작하고 적절한 화면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데이터를 기록용지에 기입하고 모니터 화면에서 간과되기 쉬운 어떠한 이상도 의사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혈압의 측정은 적어도 각 운동부하 단계의 중간과 가슴 통증이 발생한 시점에서 해야 한다. 표준적인 혈압측정기구가 자동혈압측정기구보다 정확하고 많이 이용된다. 혈압을 측정할 때 환자의 팔은 트레드밀 손잡이 이외의 위치에 놓혀져야 할 것이다. 진단의 목적으로 운동부하검사를 시행할 때 환자는 운동 종료 후 즉시 보행을 멈추고 심전도의 데이터가 최대 심박수 근처에 도달한 약 10초간 선채로 정지하고 그 후 누운 자세를 유지한다. 그리고 모든 운동 프로토콜은 검사 되는 환자의 형태에 맞춰 조정하는 것이 현명하다. 

300x250

'일해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처방의 필요성  (0) 2021.12.23
운동부하검사 주의사항  (0) 2021.12.22
운동부하검사 전에  (0) 2021.12.22
운동부하검사와 운동처방  (0) 2021.12.22
운동부하검사의 의미  (0) 2021.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