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해유

컨버전스 01

300x250

이미 검증된 기술, 아이디어 등을 창조적으로 재조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혁신 방안이며, 이것이 바로 컨버전스인 것이다.
이미 검증된 기술, 아이디어 등을 창조적으로 재조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혁신 방안이며, 이것이 바로 컨버전스인 것이다.

 

지난 수년간 전 세계적으로 컨버전스 열풍이 지속되었다. 주요 IT기업들은 컨버전스 제품을 경쟁적으로 출시했을 뿐만 아니라 차세대 혁신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제 컨버전스는 IT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 금융, 문화 등 타 산업에서도 주요 트렌드가 되고 있다. 이제 현시대 패러다임의 거대한 조류 중 하나가 '컨버전스'라는 점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컨버전스가 기업 비즈니스 측면에서 현재의 가장 핵심적인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은 배경은 갈수록 다양화, 고도화되는 고객의 니즈 변화를 제대로 만족시키기 위한 가장 확실한 혁신 수단이기 때문이다. 기술 성숙에 의한 혁신적인 기술개발의 정체와 경쟁의 첨예화 등으로 기존에 없는 완전히 새로운 제품, 서비스의 창출은 점점 힘들어지고 있으며 추진과정에서 엄청난 비용과 시간 소요가 필요하다. 

 

다양한 제품, 사업 분야에서 이미 검증된 기술, 아이디어 등을 창조적으로 재조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혁신 방안이며, 이것이 바로 컨버전스인 것이다. 휴대전화 기능에 카메라, 모바일 인터넷 접속, DMB 청취, MP3 재생은 물론 개인 컴퓨터 기능까지 더해진 스마트폰이나 이종 산업 간에 제휴를 통해 서로의 상품을 추천해 주기도 하고, 결합 상품을 제시하기도 함으로써 이종 산업의 융합을 통해 서로 '윈윈' 하는 마케팅을 통해 새로운 소비를 창출함은 물론, IT의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타 산업 분야 기술과의 접목이 활발해지면서 금융과의 융합에 따른 U-금융(인터넷 및 모바일 금융) 등의 사용 확대를 예로 들 수 있겠다.

 

디지털화를 통해 기술의 복제 및 융합과 해체가 자유로운 전자산업에서는 컨버전스가 전자기기의 발전을 규정하는 가장 큰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휴대폰의 경우 완전한 컨버전스의 방향으로 진화하면서 비교가 안될 정도의 다양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컨버전스 만능주의의 함정에 매몰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소비자가 원하는 수준보다 많은 기능을 부가할 경우, 기능피로 현상을 유발해 오히려 기능을 단순화하거나 전문화한 경우보다 못하게 되는 역효과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300x250

'공부해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의 비대칭성  (0) 2021.12.18
컨버전스 02  (0) 2021.12.18
1만의 시간 02  (0) 2021.12.18
1만의 시간 01  (0) 2021.12.18
전쟁과 경제 02  (0) 2021.12.18